시작 전 확인: 1단계 - 설정
이제 무엇을 만들지 알았으니, 필요한 모든 도구를 설정할 차례입니다!
이 단계에서는 개발 환경을 설정하고 Netlify에 배포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. 이미 환경과 작업 흐름에 익숙하다면 2단계로 건너뛰세요.
온라인 코드 편집기에서 이 튜토리얼을 완료하고 싶나요? 아래 지침에 따라 Google IDX에서 시작하세요.
Google IDX 사용하기: 이 안내를 따른 후, 바로 2단계로 이동하세요!
IDX 설정
-
IDX의 새 작업 공간에서 “Empty Project” 템플릿을 실행하기 위해 외부 링크를 따라가세요.
-
아직 로그인하지 않았다면 안내에 따라 Google 계정에 로그인하세요.
-
기본 이름인 “Empty Project”에서 변경하고 싶다면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하세요. Create를 클릭하세요.
-
작업 공간이 생성될 때까지 기다리세요. 30 ~ 60초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.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온라인 코드 편집기에 Astro 프로젝트가 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
IDX가 두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까지 기다리세요. 하나는 Astro를 설치하는 스크립트이며, 다른 하나는 개발 서버를 시작하는 스크립트입니다. Astro가 설치되기 전에 작업 공간이 로드되면 “couldn’t find Astro”라는 메시지가 잠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 메시지가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으면 무시하고 취소해도 됩니다.
코드 변경
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웹사이트의 실시간 미리보기와 src/pages/index.astro
파일의 코드가 분할 화면으로 함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“첫 번째 Astro 코드 작성하기”의 안내에 따라 이 파일을 수정해 보세요.
Github 리포지토리 생성
-
세로 메뉴 바에서 “Source Control” 탐색 항목으로 이동하거나, CTRL + SHIFT + G 키를 눌러 메뉴를 여세요.
-
GitHub에 게시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하세요. 그러면 GitHub 계정에 새 리포지토리가 생성됩니다.
-
안내에 따라 GitHub 계정에 로그인하세요.
-
로그인 후, IDX 탭으로 돌아가 새 리포지토리의 이름을 지정하고, 비공개 또는 공개 리포지토리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 튜토리얼에서는 원하는 이름과 유형의 리포지토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
IDX는 첫 커밋을 생성하고, 프로젝트를 새 Github 리포지토리에 게시할 것입니다.
-
앞으로는 GitHub에 커밋할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Source Control 탐색 아이콘에 숫자가 표시됩니다. 이 숫자는 마지막 커밋 이후 변경된 파일의 개수입니다. 이 탭으로 이동하여 커밋과 게시를 수행하면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고 리포지토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.
사이트 배포
개발하는 동안 Netlify에 배포하여 실시간 게시 버전의 사이트를 확인하고 싶다면, 1단계의 사이트를 웹에 배포하기를 확인하세요.
그렇지 않다면, 2단계로 건너뛰어 Astro를 사용해 빌드를 시작하세요.
어떻게 진행되나요?
섹션 제목: 어떻게 진행되나요?이 단계에서는 GitHub에 온라인으로 저장되고 Netlify에 연결되는 새 프로젝트를 만듭니다.
코드를 작성하면서 주기적으로 변경 사항을 GitHub에 커밋하게 됩니다. Netlify는 GitHub 리포지토리의 파일을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빌드한 후, 누구나 볼 수 있는 고유한 주소로 인터넷에 게시합니다.
GitHub에 변경 사항을 커밋할 때마다 Netlify로 알림이 전송됩니다. 그러면 Netlify는 해당 변경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게시된 사이트를 다시 빌드하고 게시합니다.